반응형
POJO(Plain Old Java Object)
- 간단히 POJO는 말 그대로 해석을 하면 오래된 방식의 간단한 자바 오브젝트라는 말로서 Java EE 등의 중량 프레임워크들을 사용하게 되면서 해당 프레임워크에 종속된 "무거운" 객체를 만들게 된 것에 반발해서 사용되게 된 용어이다. 2000년 9월에 마틴 파울러, 레베카 파슨, 조쉬 맥킨지 등이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로서 마틴 파울러는 다음과 같이 그 기원을 밝히고 있다. [1]
“ | 우리는 사람들이 자기네 시스템에 보통의 객체를 사용하는 것을 왜 그렇게 반대하는지 궁금하였는데, 간단한 객체는 폼 나는 명칭이 없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라고 결론지었다. 그래서 적당한 이름을 하나 만들어 붙였더니, 아 글쎄, 다들 좋아하더라고. | ” |
— 마틴 파울러 |
POJO라는 용어는 이후에 주로 특정 자바 모델이나 기능, 프레임워크 등을 따르지 않은 자바 오브젝트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.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POJO 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.
스프링은 내부에서 객체 간의 관계를 구성.
이 관계를 구성할 때 별도의 API 등을 사용하지 않는 POJO의 구성만으로 가능하도록 제작.
-> 일반적인 Java 코드를 이용해서 객체를 구성하는 방식을 그대로 스프링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
의미?
- 코드를 개발할 때 개발자가 특정한 라이브러리나 컨테이너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다.
- 개발자는 가장 일번적인 형태로 코드를 작서앟고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에서도 유리
- 코드에 대한 테스트 작업 역시 좀 더 유연하게 할 수 있음.
반응형
'Programming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log4j 한글 경로 오류 설정방법 - URI$MalformedURIException (0) | 2021.11.22 |
---|---|
DI(Dependency Injection) 이란? (0) | 2021.08.26 |
컨트롤러란, 기본적인 동작방식 (FrontController, Dispatcher) (0) | 2021.08.11 |
YML/YAML 파일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1.08.11 |
SPRING과 SPRING BOOT의 차이점 (0) | 2021.08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