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gorithm/Programmers 입문

[프로그래머스 코딩기초 트레이닝] 배열 조각하기 (JAVA)

JunFe 2023. 11. 23. 00:12
반응형

문제 설명

 

정수 배열 arr와 query가 주어집니다.

query를 순회하면서 다음 작업을 반복합니다.

 

짝수 인덱스에서는 arr에서 query[i]번 인덱스를 제외하고 배열의 query[i]번 인덱스 뒷부분을 잘라서 버립니다.

홀수 인덱스에서는 arr에서 query[i]번 인덱스는 제외하고 배열의 query[i]번 인덱스 앞부분을 잘라서 버립니다.

 

위 작업을 마친 후 남은 arr의 부분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

제한사항

 

5 ≤ arr의 길이 ≤ 100,000

     - 0 ≤ arr의 원소 ≤ 100

1 ≤ query의 길이 < min(50, arr의 길이 / 2)

     - query의 각 원소는 0보다 크거나 같고 남아있는 arr의 길이 보다 작습니다.


입출력 예

 

arr query result
[0, 1, 2, 3, 4, 5] [4, 1, 2] [1, 2, 3]

입출력 예 설명

 

입출력 예 #1

이번에 매번 처리할 query의 값과 처리 전후의 arr의 상태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query의 값 query 처리 전 query 처리 후 비고
4 [0, 1, 2, 3, 4, 5] [0, 1, 2, 3, 4] 0번 인덱스의 쿼리이므로 뒷부분을 자른다.
1 [0, 1, 2, 3, 4] [1, 2, 3, 4] 1번 인덱스의 쿼리이므로 앞부분을 다른다.
2 [1, 2, 3, 4] [1, 2, 3] 2번 인덱스의 쿼리이므로 뒷부분을 자른다.

따라서 [1, 2, 3]을 return 합니다.


문제풀이

 

-> 배열을 넣고 빼기 위해서 ArrayList를 사용하였다. 그런데 앞부분 배열을 뺄 때, 인덱스 값을 같이 줄여줘야하는데 그대로 계속 구하려고 하다보니 런타임 오류가 나서 애를 많이 먹었다.


코드

 

import java.util.*;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 query) {
        ArrayList<Integer> arrayList = new ArrayList<>();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
            arrayList.add(arr[i]);
        }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query.length; i++) {
            if (i % 2 == 0) {
                for (int j = query[i] + 1; j < arrayList.size();) {
                    arrayList.remove(j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for (int j = query[i] - 1; j >= 0;) {
                    arrayList.remove(j);
                    j--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int[] answer = new int[arrayList.size()]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arrayList.size(); i++) {
            answer[i] = arrayList.get(i);
        }
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
반응형